남들 다 한다는 ‘그 재테크’…성인 60% “뒤쳐질까 불안”
최근 챗GPT와 같은 생성 AI서비스를 활용해 투자를 하는 ‘AI 재테크’가 유행하고 있다. A증권사 보고서나 재무제표 요약을 시키는 것부터 중장기 투자 전략이나 특정 종목·펀드의 매수 여부를 AI에 묻는 것까지 그 범위도 매우 넓고 다양하다.
이에 국내 성인 10명 중 6명은 이런 흐름에 뒤처질까 봐 불안감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국내 20∼60대 시민 1천명을 대상으로 ‘생성 AI 확산에 따른 AI 불안 경험’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공개했다.
https://tm.interworksmedia.co.kr/ads.sx/37A45892
이 설문은 생성 AI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인 ‘업무 관련 지식 습득’, ‘재테크’, ‘본인과 자녀의 학습·교육’ 등 3가지를 제시하고 근래의 AI 활용 추세를 자신이 못 따라갈까 봐 불안을 느끼는지 물었다.
이 질문 모두에 과반 이상의 응답자가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AI 재테크 유행에 잘 적응하지 못해 불안하다는 답변율은 59.1%에 달했다. AI 기반의 업무 지식 습득에 대해 불안감을 느낀다는 반응은 67.2%, AI 교육·학습 붐과 관련해 초조하다는 이들은 54.9%로 각각 나타났다.
언론재단 양정애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AI 재테크에 대한 불안감은 연령별로는 30∼50대의 답변이 많았고, 특히 30대는 64.5%가 불안하다는 답을 내놔 그 비율이 가장 높았다”며 “이는 30대가 사회·경제 활동의 초기 단계에서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크고 AI를 잘 활용하려는 수요도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https://io1.innorame.com/imp/bLEr7ALXPew4.iframe
자신도 재테크에 생성 AI를 쓴다고 답한 이들은 설문 참여자 중 35%로 조사됐다.
한편 금융 전문가들은 AI의 답변을 ‘팩트’로 믿지는 말아야 한다고 당부한다. 최근 생성 AI의 성능이 갈수록 좋아지고 있지만 비상식적 답변을 할 위험성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의 이정민 연구위원은 “재테크 분석에서 생성 AI 모델마다 고유의 편향성이 존재하는 데다 같은 제품도 유료·무료 버전의 답변이 다를 수 있다”며 “개별 AI의 답변은 여러 경로를 통해 비교·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