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후기,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뉴시스는 한 주 동안 문화예술계 이슈의 중심에 선 인물들을 선정해 소개한다.

이번 주에는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2025 한글발전 유공자’로 선정된 고(故) 장형두 서울대교수, ‘한글세계화’ 캠페인을 벌이고 ‘제니체’를 만든 서경덕·김남길·제니 등이 선정됐다.

◆스웨덴 한림원 “라슬로 작품은 강렬하고 선구적”

헝가리 소설가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László Krasznahorkai·71)가 2025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지난 9일(현지시각) 스웨덴 한림원은 라슬로를 수상자로 선정하면서 “묵시록적 공포 속에서 예술의 힘을 재확인한 라슬로의 작품은 강렬하고 선구적”이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헝가리 현대문학의 거장 라슬로는 1954년 헝가리 줄러에서 태어났다. 부다페스트 대학에서 법학과 헝가리문학을 전공하며 소설가로 활동하기 전 출판사 편집자로 일했다.

그는 1985년 장편 ‘사탄탱고’로 집필 활동을 시작했는데, 이는 라슬로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소설은 공산주의가 붕괴하던 1980년대 헝가리를 배경으로, 해체된 집단농장의 마을에 남아 가난과 불신의 늪에 빠져 무기력한 삶을 보내는 인물의 이야기를 담았다. 1994년 동명의 영화로 제작됐으며, 각본 작업에 참여했다.

이후 장편과 중단편집, 각본 등 다양한 작품을 펴내며 독자들을 만나왔다. 한림원은 이날 “중부 유럽 전통을 잇는 위대한 작가”라고 소개하며 “부조리함과 그로테스트크한 과잉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전했다.

라슬로는 자신의 작품세계의 주를 이루는 종말론적 성향에 대해 “아마도 나는 지옥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독자들을 위한 작가인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국 대표 작가 고(故) 수전 손택은 그를 “현존하는 묵시록 문학의 최고 거장”이라고 평한 바 있다.

그는 2015년 헝가리 작가 최초로 맨부커상(현 부커상) 국제 부문을 수상했고,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자로 거론됐다. 수상자를 예측하는 영국의 베팅사이트 ‘나이서 오즈(Nicer Odds)’에서는 배당률 7배를 기록하며 2위였다.

이 외에도 라슬로는 헝가리 최고 권위 문학상인 코슈트상(2004)을 비롯해 산도르 마라이(1998), 헝가리 문화유산상(2008), 브뤼케 베를린 문학상(2010), 슈피허 문학상(2010) 등을 수상했다.

◆故장형두 교수 “조선 식물에 조선 이름 지어야”

식물학자인 고(故) 장형두(1906~1949년) 전 서울대학교 교수가 ‘2025 한글발전유공자’로 선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9일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글 및 국어 발전에 이바지한 공이 큰 국내외 인사 9명과 단체 1곳에 대해 보관문화훈장 2점, 문화포장 2점, 대통령 표창 3점, 국무총리 표창 3점을 수여했다.

고 장형두 서울대 교수는 마크 알렌 피터슨 미국 브리검영대학교 명예교수와 함께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장형두 교수는 일제강점기라는 어려운 여건에서도 토착 식물에 바람꽃·애기똥풀 등 우리말 이름을 붙이고, ‘학생식물도보’를 편찬해 한글과 우리말 수호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장 교수는 서구의 식물분류학이 일제를 통해 수입되던 시절, 제주에서 백두산까지 방방곡곡을 돌며 우리 산하의 식물을 채집하고 정리한 인물이다. ‘일본 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마키노 도미타로(牧野富太郞·1862~1957년)에게 사사했지만 “조선 식물에 조선 이름을 지어야 한다”며 고집을 꺾지 않았다. 창씨개명을 끝까지 거부해 설움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름 없던 들꽃과 희귀식물에 고유의 한글 이름을 달았다.

또한 장 교수는 조선인 식물학자 중에서 라틴어로 종(種) 기재를 할 수 있었던 유일한 학자였다. 그러나 일본어로 한국 식물명을 표기하는 것에 강하게 반대했던 그는 “(채집자 이름에서) 내 이름을 빼주시오”라고 요구할 정도로 민족의식이 투철했다.

장형두 교수는 전남 광주 출신으로, 12살 때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부립원예학교(府立園藝學校)에 입학했다. 1923년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귀국해 이리농림학교 2학년을 수료한 뒤 다시 건너가 1928년 도쿄 고등조원학교(高等造園學校. 현 도쿄농대 전신)를 졸업했다.

귀국 후 1935년 정태현, 이덕봉, 박만규, 석주명과 함께 ‘조선박물학연구회’ 창립을 주도했으며, 숭실전문, 성균관대 강사를 거쳐 1948년 9월 서울대 사범대학 부교수에 임용됐다. 1세대 식물학자이자 서울대 사범대 교수로 전국을 돌며 교원강습회를 열어 조선 식물과 식물학의 소중함에 눈을 뜨게 했다.

1949년 뜻밖의 사건에 휘말려 경찰 취조 도중 고문으로 인해 세상을 떠났다.

◆서경덕·김남길 멕시코 한글학교에 교육물품…OA엔터, 젠 세리프 출시

배우 김남길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제579돌 한글날(10월 9일)을 맞아 멕시코 ‘재 몬테레이한글학교’에 교육 물품을 기증했다.

미국 뉴욕 ‘그루터기 한글학교’에 첫 기증을 시작으로, 캐나다 벤쿠버 ‘캔남사당 한글문화학교’, 헝가리 부다페스트 ‘한글 배움터’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 기증이다.

이들이 펼치는 ‘한글 세계화 캠페인’은 세계 곳곳에서 한글 교육을 위해 힘쓰는 주말학교,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스터디 모임을 운영하는 외국인 등을 대상으로 교육 물품을 기증하는 일이다.

이번 일을 기획한 서 교수는 “최근 멕시코 재 몬테레이한글학교에 스마트TV, 노트북, 문구류 등 다양한 교육 물품을 기증했다”고 밝혔다.

특히 “K팝, K드라마 등이 전 세계에 널리 퍼지면서 한글 및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과 재외동포가 많아져 이들의 교육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이번 일을 후원한 김남길은 “전 세계 곳곳에서 한글 교육에 힘쓰고 있는 단체를 수소문해 앞으로도 꾸준히 지원을 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그룹 블랙핑크 제니는 배우 김남길과 함께 579돌 한글날을 기념한 특별한 기획을 마련했다.

지난 9일 소속사 OA엔터테인먼트는 공식 홈페이지와 SNS 채널을 통해 신규 폰트 ‘젠 세리프'(ZEN SERIF) 출시 소식을 알렸다.

OA엔터테인먼트는 메타(Meta)와 협업해 인스타그램 숏폼 영상 편집 앱 ‘에디트'(Edits)에 한글 폰트를 최초로 등록, 9일부터 전 세계 모든 앱 사용자가 해당 신규 폰트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젠 세리프’ 폰트는 전통의 미감과 현대적 감각을 제니와 OA엔터테인먼트(ODDATELIER)의 정체성으로 담은 것으로, 전 세계에 한글의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해 출시됐다.

장식을 최소화해 본질을 살리고, 유연한 곡선을 더해 OA엔터테인먼트 특유의 섬세한 예술성을 담았다. 서양의 전통 서체인 블랙레터와 한글을 결합한 최초의 시도다.

앞서 제니는 첫 번째 정규 앨범의 수록곡 ‘젠'(ZEN)과 ‘서울 시티'(Seoul City)로 한국의 멋을 세계에 알렸고, 서울관광 명예홍보대사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에 대한 특별한 사랑과 자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azzling@newsis.com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뉴시스는 한 주 동안 문화예술계 이슈의 중심에 선 인물들을 선정해 소개한다.이번 주에는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2025 한글발전 유공자’로 선정된 고(故) 장형두 서울대교수, ‘한글세계화’ 캠페인을 벌이고 ‘제니체’를 만든 서경덕·김남길·제니 등이 선정됐다.◆스웨덴 한림원 “라슬로 작품은 강렬하고 선구적”헝가리 소설가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László Krasznahorkai·71)가 2025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지난 9일(현지시각) 스웨덴 한림원은 라슬로를 수상자로 선정하면서 “묵시록적 공포 속에서 예술의 힘을 재확인한 라슬로의 작품은 강렬하고 선구적”이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헝가리 현대문학의 거장 라슬로는 1954년 헝가리 줄러에서 태어났다. 부다페스트 대학에서 법학과 헝가리문학을 전공하며 소설가로 활동하기 전 출판사 편집자로 일했다.그는 1985년 장편 ‘사탄탱고’로 집필 활동을 시작했는데, 이는 라슬로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소설은 공산주의가 붕괴하던 1980년대 헝가리를 배경으로, 해체된 집단농장의 마을에 남아 가난과 불신의 늪에 빠져 무기력한 삶을 보내는 인물의 이야기를 담았다. 1994년 동명의 영화로 제작됐으며, 각본 작업에 참여했다.이후 장편과 중단편집, 각본 등 다양한 작품을 펴내며 독자들을 만나왔다. 한림원은 이날 “중부 유럽 전통을 잇는 위대한 작가”라고 소개하며 “부조리함과 그로테스트크한 과잉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전했다.라슬로는 자신의 작품세계의 주를 이루는 종말론적 성향에 대해 “아마도 나는 지옥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독자들을 위한 작가인 것 같다”고 말했다.미국 대표 작가 고(故) 수전 손택은 그를 “현존하는 묵시록 문학의 최고 거장”이라고 평한 바 있다.그는 2015년 헝가리 작가 최초로 맨부커상(현 부커상) 국제 부문을 수상했고,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자로 거론됐다. 수상자를 예측하는 영국의 베팅사이트 ‘나이서 오즈(Nicer Odds)’에서는 배당률 7배를 기록하며 2위였다.이 외에도 라슬로는 헝가리 최고 권위 문학상인 코슈트상(2004)을 비롯해 산도르 마라이(1998), 헝가리 문화유산상(2008), 브뤼케 베를린 문학상(2010), 슈피허 문학상(2010) 등을 수상했다.◆故장형두 교수 “조선 식물에 조선 이름 지어야”식물학자인 고(故) 장형두(1906~1949년) 전 서울대학교 교수가 ‘2025 한글발전유공자’로 선정됐다.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9일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글 및 국어 발전에 이바지한 공이 큰 국내외 인사 9명과 단체 1곳에 대해 보관문화훈장 2점, 문화포장 2점, 대통령 표창 3점, 국무총리 표창 3점을 수여했다. 고 장형두 서울대 교수는 마크 알렌 피터슨 미국 브리검영대학교 명예교수와 함께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장형두 교수는 일제강점기라는 어려운 여건에서도 토착 식물에 바람꽃·애기똥풀 등 우리말 이름을 붙이고, ‘학생식물도보’를 편찬해 한글과 우리말 수호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장 교수는 서구의 식물분류학이 일제를 통해 수입되던 시절, 제주에서 백두산까지 방방곡곡을 돌며 우리 산하의 식물을 채집하고 정리한 인물이다. ‘일본 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마키노 도미타로(牧野富太郞·1862~1957년)에게 사사했지만 “조선 식물에 조선 이름을 지어야 한다”며 고집을 꺾지 않았다. 창씨개명을 끝까지 거부해 설움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름 없던 들꽃과 희귀식물에 고유의 한글 이름을 달았다. 또한 장 교수는 조선인 식물학자 중에서 라틴어로 종(種) 기재를 할 수 있었던 유일한 학자였다. 그러나 일본어로 한국 식물명을 표기하는 것에 강하게 반대했던 그는 “(채집자 이름에서) 내 이름을 빼주시오”라고 요구할 정도로 민족의식이 투철했다. 장형두 교수는 전남 광주 출신으로, 12살 때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부립원예학교(府立園藝學校)에 입학했다. 1923년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귀국해 이리농림학교 2학년을 수료한 뒤 다시 건너가 1928년 도쿄 고등조원학교(高等造園學校. 현 도쿄농대 전신)를 졸업했다.귀국 후 1935년 정태현, 이덕봉, 박만규, 석주명과 함께 ‘조선박물학연구회’ 창립을 주도했으며, 숭실전문, 성균관대 강사를 거쳐 1948년 9월 서울대 사범대학 부교수에 임용됐다. 1세대 식물학자이자 서울대 사범대 교수로 전국을 돌며 교원강습회를 열어 조선 식물과 식물학의 소중함에 눈을 뜨게 했다.1949년 뜻밖의 사건에 휘말려 경찰 취조 도중 고문으로 인해 세상을 떠났다.◆서경덕·김남길 멕시코 한글학교에 교육물품…OA엔터, 젠 세리프 출시배우 김남길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제579돌 한글날(10월 9일)을 맞아 멕시코 ‘재 몬테레이한글학교’에 교육 물품을 기증했다. 미국 뉴욕 ‘그루터기 한글학교’에 첫 기증을 시작으로, 캐나다 벤쿠버 ‘캔남사당 한글문화학교’, 헝가리 부다페스트 ‘한글 배움터’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 기증이다.이들이 펼치는 ‘한글 세계화 캠페인’은 세계 곳곳에서 한글 교육을 위해 힘쓰는 주말학교,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스터디 모임을 운영하는 외국인 등을 대상으로 교육 물품을 기증하는 일이다.이번 일을 기획한 서 교수는 “최근 멕시코 재 몬테레이한글학교에 스마트TV, 노트북, 문구류 등 다양한 교육 물품을 기증했다”고 밝혔다.특히 “K팝, K드라마 등이 전 세계에 널리 퍼지면서 한글 및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과 재외동포가 많아져 이들의 교육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싶었다”고 덧붙였다.이번 일을 후원한 김남길은 “전 세계 곳곳에서 한글 교육에 힘쓰고 있는 단체를 수소문해 앞으로도 꾸준히 지원을 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전했다.또한 그룹 블랙핑크 제니는 배우 김남길과 함께 579돌 한글날을 기념한 특별한 기획을 마련했다.지난 9일 소속사 OA엔터테인먼트는 공식 홈페이지와 SNS 채널을 통해 신규 폰트 ‘젠 세리프'(ZEN SERIF) 출시 소식을 알렸다.OA엔터테인먼트는 메타(Meta)와 협업해 인스타그램 숏폼 영상 편집 앱 ‘에디트'(Edits)에 한글 폰트를 최초로 등록, 9일부터 전 세계 모든 앱 사용자가 해당 신규 폰트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젠 세리프’ 폰트는 전통의 미감과 현대적 감각을 제니와 OA엔터테인먼트(ODDATELIER)의 정체성으로 담은 것으로, 전 세계에 한글의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해 출시됐다. 장식을 최소화해 본질을 살리고, 유연한 곡선을 더해 OA엔터테인먼트 특유의 섬세한 예술성을 담았다. 서양의 전통 서체인 블랙레터와 한글을 결합한 최초의 시도다. 앞서 제니는 첫 번째 정규 앨범의 수록곡 ‘젠'(ZEN)과 ‘서울 시티'(Seoul City)로 한국의 멋을 세계에 알렸고, 서울관광 명예홍보대사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에 대한 특별한 사랑과 자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azzling@newsis.com  달인은 복잡한 용어 대신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투명한 절차로 상담부터 입금까지 전 과정을 깔끔하게 안내합니다. 합리적인 시세 기준으로 모델·상태별 견적을 제시하고, 불필요한 수수료나 숨은 비용은 없습니다. 폰테크가 처음이신 분도 안전하게 진행하시도록 신원 확인·안전결제·개인정보 보호 원칙을 지킵니다. 채널 상담, 방문 상담, 비대면 상담까지 상황에 맞춰 연결되며, 진행 여부는 고객이 결정합니다. 폰테크 달인은 결과만큼 과정의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당일 문의·당일 진행을 목표로 있지만, 무리한 권유 없이 조건이 맞을 때만 안내합니다. 진행 후에는 간단한 체크리스트와 거래 내역을 제공해 재확인할 수 있고, 사후 문의도 응답합니다. 합리, 안전, 투명—폰테크 달인의 기준입니다. 온라인 접수로 상담을 시작할 수 있으며, 자주 묻는 질문을 통해 폰테크 전 과정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이해한 만큼만 진행’하는 곳, 그게 폰테크 달인입니다.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비대면폰테크 https://phonetech.store/

답글 남기기

전화상담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