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5년간 명절화재 3천건…발생은 추석, 인명피해는 설 더 많아 – 폰테크 달인

폰테크 후기,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최근 5년간 설·추석 연휴 기간 전국에서 3000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해 40명이 넘게 사망하고 180여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 건수는 추석 연휴에 더 많았지만, 인명피해 규모는 설 연휴가 더 컸다.

28일 모경종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명절 연휴 화재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2024년 추석 연휴와 2020~2025년 설 연휴 기간 발생한 화재는 총 3002건으로 집계됐다.

이로 인해 42명이 사망하고 181명이 부상을 입었다. 재산 피해 규모는 2600억원에 달했다.

연휴가 비교적 긴 추석에 화재 발생이 더 잦았다.

최근 5년간 추석 연휴는 평균 5일로 설 연휴(평균 4.2일)보다 하루가량 길었다. 이 기간 2026건의 화재가 발생해 총 10명이 숨지고 98명이 다쳤다. 재산 피해액은 199억4573만원으로 집계됐다.

원인별로 보면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전체의 45.7%(926건)를 차지했다. 이어 전기적 요인이 28%(567건), 미상 8.6%(175건), 기계적 요인 7.9%(160건) 순이었다.

추석 연휴에는 음식 준비 과정에서 화기 사용이 늘고 성묘·벌초 등 야외 활동도 많아져 화재 위험도 높아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장소별로는 공동·단독주택 등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가 682건(33.7%)으로 가장 많았다. 추석 연휴 화재의 3분의 1 이상은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셈이다.

이 중에서도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가 344건(50.4%)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단독주택 화재는 318건(46.6%), 기타주택은 20건(2.9%)이었다.

그 밖에 기타 시설 412건(20.3%), 생활서비스업 219건(10.8%), 자동차·철도차량 216건(10.7%), 산업시설 188건(9.3%)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9.1%(387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15.4%(313건), 경남 10.3%(208건), 부산 8.1%(164건), 경북 7.4%(150건), 전남 7.5%(149건), 충남 6.8%(141건)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설 연휴는 연평균 화재 건수가 163건으로 추석(연평균 405건)보다 적었지만 인명피해는 더 컸다.

최근 6년간 설 연휴 동안 발생한 화재는 976건으로, 이로 인한 사망자는 32명, 부상자는 83명으로 집계됐다. 매년 설 연휴마다 5.3명이 사망하고 13.8명이 다친 것이다. 재산 피해는 60억5856만원으로 집계됐다.

추석 연휴와 마찬가지로 화재 원인 1위는 부주의(55.8%·545건)였다. 전기적 요인 22.6%(220건), 미상 9.2%(90건), 기계적 요인 6.7%(65건) 등이 뒤 이었다.

장소별로는 단독주택이 전체의 44.1%(430건)로 가장 많았고, 아파트 화재가 21.4%(209건), 다가구주택 8.6%(84건), 다세대주택(8.9%(87건)로 나타났다. 전체 사망자의 43.8%도 단독주택 화재에서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17%(166건), 서울 16.6%(162건), 경남 10.7%(104건), 경북 9.1%(89건) 순으로 화재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 의원은 “최근 5년간 명절 연휴에만 3000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했다”며 “정부가 노후 주택과 취약시설에 대한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책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최근 5년간 설·추석 연휴 기간 전국에서 3000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해 40명이 넘게 사망하고 180여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 건수는 추석 연휴에 더 많았지만, 인명피해 규모는 설 연휴가 더 컸다.

28일 모경종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명절 연휴 화재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2024년 추석 연휴와 2020~2025년 설 연휴 기간 발생한 화재는 총 3002건으로 집계됐다.

이로 인해 42명이 사망하고 181명이 부상을 입었다. 재산 피해 규모는 2600억원에 달했다.

연휴가 비교적 긴 추석에 화재 발생이 더 잦았다.

최근 5년간 추석 연휴는 평균 5일로 설 연휴(평균 4.2일)보다 하루가량 길었다. 이 기간 2026건의 화재가 발생해 총 10명이 숨지고 98명이 다쳤다. 재산 피해액은 199억4573만원으로 집계됐다.

원인별로 보면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전체의 45.7%(926건)를 차지했다. 이어 전기적 요인이 28%(567건), 미상 8.6%(175건), 기계적 요인 7.9%(160건) 순이었다.

추석 연휴에는 음식 준비 과정에서 화기 사용이 늘고 성묘·벌초 등 야외 활동도 많아져 화재 위험도 높아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장소별로는 공동·단독주택 등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가 682건(33.7%)으로 가장 많았다. 추석 연휴 화재의 3분의 1 이상은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셈이다.

이 중에서도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가 344건(50.4%)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단독주택 화재는 318건(46.6%), 기타주택은 20건(2.9%)이었다.

그 밖에 기타 시설 412건(20.3%), 생활서비스업 219건(10.8%), 자동차·철도차량 216건(10.7%), 산업시설 188건(9.3%)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9.1%(387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15.4%(313건), 경남 10.3%(208건), 부산 8.1%(164건), 경북 7.4%(150건), 전남 7.5%(149건), 충남 6.8%(141건)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설 연휴는 연평균 화재 건수가 163건으로 추석(연평균 405건)보다 적었지만 인명피해는 더 컸다.

최근 6년간 설 연휴 동안 발생한 화재는 976건으로, 이로 인한 사망자는 32명, 부상자는 83명으로 집계됐다. 매년 설 연휴마다 5.3명이 사망하고 13.8명이 다친 것이다. 재산 피해는 60억5856만원으로 집계됐다.

추석 연휴와 마찬가지로 화재 원인 1위는 부주의(55.8%·545건)였다. 전기적 요인 22.6%(220건), 미상 9.2%(90건), 기계적 요인 6.7%(65건) 등이 뒤 이었다.

장소별로는 단독주택이 전체의 44.1%(430건)로 가장 많았고, 아파트 화재가 21.4%(209건), 다가구주택 8.6%(84건), 다세대주택(8.9%(87건)로 나타났다. 전체 사망자의 43.8%도 단독주택 화재에서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17%(166건), 서울 16.6%(162건), 경남 10.7%(104건), 경북 9.1%(89건) 순으로 화재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 의원은 “최근 5년간 명절 연휴에만 3000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했다”며 “정부가 노후 주택과 취약시설에 대한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책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폰테크 달인은 복잡한 용어 대신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투명한 절차로 상담부터 입금까지 전 과정을 깔끔하게 안내합니다. 합리적인 시세 기준으로 모델·상태별 견적을 제시하고, 불필요한 수수료나 숨은 비용은 없습니다. 폰테크가 처음이신 분도 안전하게 진행하시도록 신원 확인·안전결제·개인정보 보호 원칙을 지킵니다. 채널 상담, 방문 상담, 비대면 상담까지 상황에 맞춰 연결되며, 진행 여부는 고객이 결정합니다. 폰테크 달인은 결과만큼 과정의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당일 문의·당일 진행을 목표로 있지만, 무리한 권유 없이 조건이 맞을 때만 안내합니다. 진행 후에는 간단한 체크리스트와 거래 내역을 제공해 재확인할 수 있고, 사후 문의도 응답합니다. 합리, 안전, 투명—폰테크 달인의 기준입니다. 온라인 접수로 상담을 시작할 수 있으며, 자주 묻는 질문을 통해 폰테크 전 과정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이해한 만큼만 진행’하는 곳, 그게 폰테크 달인입니다.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비대면폰테크 https://phonetech.store/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