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시절 국정기획비서관 김동조 재산 239억…김태효 150억 – 폰테크 달인

폰테크 후기,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김상호 대통령실 보도지원비서관이 60억여원의 재산을 신고해 이달 재산공개 대상자 현직자 중에서는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자 중에서는 239억원을 신고한 김동조 전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이 1위를 차지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 이런 내용의 ‘9월 고위공직자 수시 재산등록 사항’을 전자관보에 게재했다.

이달 재산공개 대상자는 지난 6월 2일부터 7월 1일까지 신분이 변동된 고위공직자 145명이다.

현직자 재산 1위는 김상호 대통령비서실 보도지원비서관으로 총 60억7837만원을 신고했다.

김 비서관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다세대주택, 광진구 구의동 아파트 등을 합쳐 건물 재산만 75억원에 달했다.

이 외에 가상자산 16억3769만원, 예금은 3억8649만원, 골프·콘도 회원권 3억1009만원, 예술품 1억4000만원, 증권 8947만원, 채권 6400만원, 금·백금 2765만원 등을 보유했다고 신고했다.

금융채무와 임대보증금 등 채무는 22억9615만원이었다.

2위는 59억8215만원을 신고한 김영진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이었다.

김 이사장은 본인 명의의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18억3200만원)와 배우자 명의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 전세권(15억3000만원) 등 건물 34억6200만원을 신고했다.

예금 15억9638만원, 증권 12억8651만원, 콘도·골프 회원권 4650만원, 채무 5억300만원도 신고했다.

이어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56억6291만원을 신고해 현직자 3위를 차지했다.

이 차관은 본인 명의 경기도 성남시 소재 아파트(7억3900만원)와 배우자 명의의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소재 아파트(33억5000만원) 등 건물 재산이 43억2000만원이었다.

그밖에 예금 28억9177만원, 증권 2억3780만원, 채무 17억9515만원 등도 보유했다고 밝혔다.

퇴직자 중에서는 김동조 전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비서관이 239억4888만원을 신고해 1위에 올랐다. 종전 신고액보다 114억2978만원 감소했다.

김 전 비서관은 과거 코바나컨텐츠 주최 행사에서 도슨트로 활동해 이른바 ‘한남동 김건희 라인’으로 분류된 인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김 전 비서관을 포함해 윤석열 정부 때 임명된 대통령실 별정직 공무원 7명의 면직을 재가한 바 있다.

김 전 비서관 재산 대부분은 증권으로, 총 229억3258만원을 신고했다.

또 본인 명의 서울 용산구 용문동 아파트 등 건물 10억700만원, 예금 8억3986만원, 채무 8억7397만원 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장호진 전 대통령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이 158억1930만원을 신고해 퇴직자 2위를 차지했다. 종전보다 2억2053만원 감소한 규모다.

장 전 보좌관은 충남 태안군, 경기 부천시, 경남 함안군 소재 토지 12억3691만원과 함께 서울 용산구 아파트 등 건물 26억5823만원을 보유했다고 밝혔다.

예금 102억3853만원, 증권 13억4204만원, 채권 2억9000만원, 채무 2886만원 등도 신고했다.

3위는 149억8567만원을 신고한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었다.

김 전 차장은 본인 명의 서초구 서초동 아파트(21억5000만원), 영등포구 여의도동 상가(21억8963만원) 등 건물 93억2361만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예금 55억3624만원, 증권 2억8879만원, 채권 7412만원, 채무 2억5116만원도 신고했다. 김 전 차장의 재산은 직전 신고액보다 2억5409만원 늘었다.

지난 정부 고위공직자 중 김민석 전 고용노동부 차관은 19억3764만원을, 이병화 전 환경부 차관은 37억5872만원을 신고했다.

그밖에 고기동 전 행정안전부 차관(10억4118만원), 이한경 전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18억7857만원), 이기일 전 보건복지부 1차관(42억8590만원), 박민수 전 복지부 2차관(7억8630만원) 등 재산도 공개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김상호 대통령실 보도지원비서관이 60억여원의 재산을 신고해 이달 재산공개 대상자 현직자 중에서는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자 중에서는 239억원을 신고한 김동조 전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이 1위를 차지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 이런 내용의 ‘9월 고위공직자 수시 재산등록 사항’을 전자관보에 게재했다.이달 재산공개 대상자는 지난 6월 2일부터 7월 1일까지 신분이 변동된 고위공직자 145명이다. 현직자 재산 1위는 김상호 대통령비서실 보도지원비서관으로 총 60억7837만원을 신고했다. 김 비서관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다세대주택, 광진구 구의동 아파트 등을 합쳐 건물 재산만 75억원에 달했다.이 외에 가상자산 16억3769만원, 예금은 3억8649만원, 골프·콘도 회원권 3억1009만원, 예술품 1억4000만원, 증권 8947만원, 채권 6400만원, 금·백금 2765만원 등을 보유했다고 신고했다. 금융채무와 임대보증금 등 채무는 22억9615만원이었다. 2위는 59억8215만원을 신고한 김영진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이었다.김 이사장은 본인 명의의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18억3200만원)와 배우자 명의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 전세권(15억3000만원) 등 건물 34억6200만원을 신고했다. 예금 15억9638만원, 증권 12억8651만원, 콘도·골프 회원권 4650만원, 채무 5억300만원도 신고했다.이어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56억6291만원을 신고해 현직자 3위를 차지했다.이 차관은 본인 명의 경기도 성남시 소재 아파트(7억3900만원)와 배우자 명의의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소재 아파트(33억5000만원) 등 건물 재산이 43억2000만원이었다.그밖에 예금 28억9177만원, 증권 2억3780만원, 채무 17억9515만원 등도 보유했다고 밝혔다. 퇴직자 중에서는 김동조 전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비서관이 239억4888만원을 신고해 1위에 올랐다. 종전 신고액보다 114억2978만원 감소했다.김 전 비서관은 과거 코바나컨텐츠 주최 행사에서 도슨트로 활동해 이른바 ‘한남동 김건희 라인’으로 분류된 인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김 전 비서관을 포함해 윤석열 정부 때 임명된 대통령실 별정직 공무원 7명의 면직을 재가한 바 있다. 김 전 비서관 재산 대부분은 증권으로, 총 229억3258만원을 신고했다. 또 본인 명의 서울 용산구 용문동 아파트 등 건물 10억700만원, 예금 8억3986만원, 채무 8억7397만원 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장호진 전 대통령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이 158억1930만원을 신고해 퇴직자 2위를 차지했다. 종전보다 2억2053만원 감소한 규모다.장 전 보좌관은 충남 태안군, 경기 부천시, 경남 함안군 소재 토지 12억3691만원과 함께 서울 용산구 아파트 등 건물 26억5823만원을 보유했다고 밝혔다.예금 102억3853만원, 증권 13억4204만원, 채권 2억9000만원, 채무 2886만원 등도 신고했다. 3위는 149억8567만원을 신고한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었다.김 전 차장은 본인 명의 서초구 서초동 아파트(21억5000만원), 영등포구 여의도동 상가(21억8963만원) 등 건물 93억2361만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예금 55억3624만원, 증권 2억8879만원, 채권 7412만원, 채무 2억5116만원도 신고했다. 김 전 차장의 재산은 직전 신고액보다 2억5409만원 늘었다.지난 정부 고위공직자 중 김민석 전 고용노동부 차관은 19억3764만원을, 이병화 전 환경부 차관은 37억5872만원을 신고했다.그밖에 고기동 전 행정안전부 차관(10억4118만원), 이한경 전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18억7857만원), 이기일 전 보건복지부 1차관(42억8590만원), 박민수 전 복지부 2차관(7억8630만원) 등 재산도 공개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폰테크 달인은 복잡한 용어 대신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투명한 절차로 상담부터 입금까지 전 과정을 깔끔하게 안내합니다. 합리적인 시세 기준으로 모델·상태별 견적을 제시하고, 불필요한 수수료나 숨은 비용은 없습니다. 폰테크가 처음이신 분도 안전하게 진행하시도록 신원 확인·안전결제·개인정보 보호 원칙을 지킵니다. 채널 상담, 방문 상담, 비대면 상담까지 상황에 맞춰 연결되며, 진행 여부는 고객이 결정합니다. 폰테크 달인은 결과만큼 과정의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당일 문의·당일 진행을 목표로 있지만, 무리한 권유 없이 조건이 맞을 때만 안내합니다. 진행 후에는 간단한 체크리스트와 거래 내역을 제공해 재확인할 수 있고, 사후 문의도 응답합니다. 합리, 안전, 투명—폰테크 달인의 기준입니다. 온라인 접수로 상담을 시작할 수 있으며, 자주 묻는 질문을 통해 폰테크 전 과정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이해한 만큼만 진행’하는 곳, 그게 폰테크 달인입니다.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비대면폰테크 https://phonetech.store/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