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삶과 죽음을 잇는 산업…펫푸드 공장부터 장묘시설까지[르포] – 폰테크 달인

폰테크 후기,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음성·천안=뉴시스]임하은 기자 = “공장의 구조 자체가 수평형입니다. 원료가 들어오면 가공, 포장, 창고까지 일렬로 배치돼 교차 오염을 막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수집돼 품질 편차를 최소화합니다.”

25일 오전 충북 음성 금왕테크노밸리 산업단지. 정문을 지나 들어서면 250m 길이의 거대한 수평형 공장이 등장한다. 원료 입고부터 제조, 포장, 보관까지 수평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이 인상적인 이곳은 펫푸드를 생산하는 기업 ‘우리와’다.

반려동물과 사람이 모두 함께 한다는 뜻의 우리와는 대한제분 그룹 계열사로, 반려동물 사료 분야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1947년 대한사료에서 출발해 1992년 펫푸드 출시 후 2018년 분리 독립한 뒤 지금은 1만4000평 부지에 생산 설비를 갖췄다.

실제로 이곳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수준의 휴먼그레이드 원료를 사용하는데, 원료는 입고 단계부터 라벨링해 추적이 가능하게 관리된다.

우리와의 차별점은 원료의 안전성과 위생적 관리다. 반려동물의 보호자들이 안심하고 사료를 먹일 수 있도록 라이브 방송으로 제조 과정을 공개하고, 공장 내부 투어도 진행하고 있다.

‘사료’로 불렸던 펫푸드는 이제 하나의 식품으로, 음식으로 전환됐다. 우리와 역시 공장을 ‘펫푸드 키친’으로 이름 붙였다. 보호자들이 가장 원하는 건 오래도록 함께 할 반려동물의 영양을 챙기는 일이라는 점에 착안했다. 반려동물 맞춤형으로 영양학을 설계하는 연구진을 꾸려 제품개발도 하고 있다.

국내 펫푸드 시장은 약 2조원 규모다. 내수와 더불어 수출 성장세도 눈에 띈다. 반려동물사료 수출액은 2020년 6740만 달러에서 2021년 9990만 달러, 2022년 1억4910만 달러, 2023년 1억4980만 달러, 2024년 1억6090만 달러로 늘었다. 불과 4년 만에 두 배 이상 성장했다.

우리와 역시 베트남·대만·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러시아, 필리핀, 멕시코 등 신흥 시장 개척에 나서며 2028년 수출 10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사료 산업의 흐름은 뚜렷하다. 건사료 위주에서 습식과 프리미엄 제품으로 무게가 옮겨가고 있고, 특히 고양이 사료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소형견 위주의 국내 시장에서는 영양 밸런스가 섬세하게 설계된 맞춤형 사료가 주목 받고 있다. 코로나19를 거치며 오프라인 펫샵 등의 판매 비중이 줄어든 반면 네이버, 쿠팡 등 온라인 판매 비중은 70%까지 늘었다.

반려동물의 건강한 일생과 직결된 펫푸드 공장을 둘러본 뒤 같은 날 오후에는 반려동물 생의 마지막 순간을 배웅하는 장묘업체 21그램 충남 천안점을 찾았다.

평일에도 반려동물과 작별인사를 하기 위해 모인 보호자들이 눈에 띄었다. 입구에 걸린 문구는 ‘겉모습은 달라도 영혼의 무게는 같다’로, 21그램은 사람과 동물의 영혼의 무게는 동일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21그램을 찾는 반려동물들은 다양하다. 개와 고양이가 95%이지만 나머지 5%에는 토끼, 햄스터, 고슴도치부터 양서류와 파충류, 물고기 등 오랜 시간을 함께 한 가족 같은 반려동물을 사랑으로 떠나보내주기 위한 발걸음들이 많다고 한다.

사람의 장례식장과 다를 바 없이 엄숙하고 정결하게 구성돼 있었다. 로비 안쪽에는 유족의 대기실이 있고, 상담실에서는 장례 절차를 미리 모형으로 안내받는다.

상담을 마친 보호자는 반려동물에게 수의를 입히고 발도장을 찍거나 마지막 간식을 챙겨주며 이별을 준비한다. 참관실에서는 화장로에 들어가는 순간까지 함께할 수 있다. 유골은 집으로 가져가거나, 분쇄해 작은 구슬 알 형태로 제작해 간직한다. 장례 절차는 2~3시간, 화장을 포함한 전체 일정은 5~6시간이 소요된다.

“아이처럼 키운 반려동물이 떠나는 순간, 보호자들은 사람 장례와 같은 존엄을 원합니다. 저희가 하는 일은 그 마음을 지켜주는 겁니다.”

장례 평균 비용은 최소 35만원에서 최대 135만원이다. 사람 장례와 같은 절차와 시설을 갖추고 있는데, 천연 소재 중심의 용품을 사용하고, 철저한 필터·배출 관리로 민원을 최소화했다.

국내 반려동물 장례 문화는 아직 정착된 수준은 아니다. 지난해 기준 반려동물 사망 시 장례업체를 이용하는 비율은 약 21.4%에 불과하다. 연간 장례 건수는 약 10만 건인데, 이 중 강아지가 7만3000건, 고양이가 2만5000건, 기타 소동물이 약 3000건이다.

21그램은 수도권의 접근성이 좋은 경기 광주·남양주, 그리고 천안아산에 지점을 두고 있다. 내년에는 김포·화성 지점을 열 계획이다. 회사의 연간 매출은 약 60억원으로, 지점마다 한 달 250~300건의 장례를 치른다.

올해부터 10월 4일이 법정 기념일인 ‘동물보호의 날’로 지정됐다. 동물보호에서 동물 복지로 대전환하겠다는 취지로, 정부는 책임 있는 반려문화를 확산해가겠다고 밝혔다.

반려가구가 늘면서 반려동물은 일상뿐 아니라 문화, 경제를 끌어가는 필수요소가 됐다. 국내 반려동물 시장은 2027년 약 6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건강한 반려동물 먹거리와 존엄한 이별을 지원하는 장묘산업까지 반려동물 시장의 향후 확장성은 무궁무진하다.

◎공감언론 뉴시스 rainy71@newsis.com [음성·천안=뉴시스]임하은 기자 = “공장의 구조 자체가 수평형입니다. 원료가 들어오면 가공, 포장, 창고까지 일렬로 배치돼 교차 오염을 막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수집돼 품질 편차를 최소화합니다.”25일 오전 충북 음성 금왕테크노밸리 산업단지. 정문을 지나 들어서면 250m 길이의 거대한 수평형 공장이 등장한다. 원료 입고부터 제조, 포장, 보관까지 수평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이 인상적인 이곳은 펫푸드를 생산하는 기업 ‘우리와’다. 반려동물과 사람이 모두 함께 한다는 뜻의 우리와는 대한제분 그룹 계열사로, 반려동물 사료 분야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1947년 대한사료에서 출발해 1992년 펫푸드 출시 후 2018년 분리 독립한 뒤 지금은 1만4000평 부지에 생산 설비를 갖췄다. 실제로 이곳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수준의 휴먼그레이드 원료를 사용하는데, 원료는 입고 단계부터 라벨링해 추적이 가능하게 관리된다. 우리와의 차별점은 원료의 안전성과 위생적 관리다. 반려동물의 보호자들이 안심하고 사료를 먹일 수 있도록 라이브 방송으로 제조 과정을 공개하고, 공장 내부 투어도 진행하고 있다. ‘사료’로 불렸던 펫푸드는 이제 하나의 식품으로, 음식으로 전환됐다. 우리와 역시 공장을 ‘펫푸드 키친’으로 이름 붙였다. 보호자들이 가장 원하는 건 오래도록 함께 할 반려동물의 영양을 챙기는 일이라는 점에 착안했다. 반려동물 맞춤형으로 영양학을 설계하는 연구진을 꾸려 제품개발도 하고 있다. 국내 펫푸드 시장은 약 2조원 규모다. 내수와 더불어 수출 성장세도 눈에 띈다. 반려동물사료 수출액은 2020년 6740만 달러에서 2021년 9990만 달러, 2022년 1억4910만 달러, 2023년 1억4980만 달러, 2024년 1억6090만 달러로 늘었다. 불과 4년 만에 두 배 이상 성장했다. 우리와 역시 베트남·대만·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러시아, 필리핀, 멕시코 등 신흥 시장 개척에 나서며 2028년 수출 10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최근 사료 산업의 흐름은 뚜렷하다. 건사료 위주에서 습식과 프리미엄 제품으로 무게가 옮겨가고 있고, 특히 고양이 사료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소형견 위주의 국내 시장에서는 영양 밸런스가 섬세하게 설계된 맞춤형 사료가 주목 받고 있다. 코로나19를 거치며 오프라인 펫샵 등의 판매 비중이 줄어든 반면 네이버, 쿠팡 등 온라인 판매 비중은 70%까지 늘었다. 반려동물의 건강한 일생과 직결된 펫푸드 공장을 둘러본 뒤 같은 날 오후에는 반려동물 생의 마지막 순간을 배웅하는 장묘업체 21그램 충남 천안점을 찾았다. 평일에도 반려동물과 작별인사를 하기 위해 모인 보호자들이 눈에 띄었다. 입구에 걸린 문구는 ‘겉모습은 달라도 영혼의 무게는 같다’로, 21그램은 사람과 동물의 영혼의 무게는 동일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21그램을 찾는 반려동물들은 다양하다. 개와 고양이가 95%이지만 나머지 5%에는 토끼, 햄스터, 고슴도치부터 양서류와 파충류, 물고기 등 오랜 시간을 함께 한 가족 같은 반려동물을 사랑으로 떠나보내주기 위한 발걸음들이 많다고 한다. 사람의 장례식장과 다를 바 없이 엄숙하고 정결하게 구성돼 있었다. 로비 안쪽에는 유족의 대기실이 있고, 상담실에서는 장례 절차를 미리 모형으로 안내받는다.상담을 마친 보호자는 반려동물에게 수의를 입히고 발도장을 찍거나 마지막 간식을 챙겨주며 이별을 준비한다. 참관실에서는 화장로에 들어가는 순간까지 함께할 수 있다. 유골은 집으로 가져가거나, 분쇄해 작은 구슬 알 형태로 제작해 간직한다. 장례 절차는 2~3시간, 화장을 포함한 전체 일정은 5~6시간이 소요된다. “아이처럼 키운 반려동물이 떠나는 순간, 보호자들은 사람 장례와 같은 존엄을 원합니다. 저희가 하는 일은 그 마음을 지켜주는 겁니다.”장례 평균 비용은 최소 35만원에서 최대 135만원이다. 사람 장례와 같은 절차와 시설을 갖추고 있는데, 천연 소재 중심의 용품을 사용하고, 철저한 필터·배출 관리로 민원을 최소화했다.국내 반려동물 장례 문화는 아직 정착된 수준은 아니다. 지난해 기준 반려동물 사망 시 장례업체를 이용하는 비율은 약 21.4%에 불과하다. 연간 장례 건수는 약 10만 건인데, 이 중 강아지가 7만3000건, 고양이가 2만5000건, 기타 소동물이 약 3000건이다.21그램은 수도권의 접근성이 좋은 경기 광주·남양주, 그리고 천안아산에 지점을 두고 있다. 내년에는 김포·화성 지점을 열 계획이다. 회사의 연간 매출은 약 60억원으로, 지점마다 한 달 250~300건의 장례를 치른다. 올해부터 10월 4일이 법정 기념일인 ‘동물보호의 날’로 지정됐다. 동물보호에서 동물 복지로 대전환하겠다는 취지로, 정부는 책임 있는 반려문화를 확산해가겠다고 밝혔다.반려가구가 늘면서 반려동물은 일상뿐 아니라 문화, 경제를 끌어가는 필수요소가 됐다. 국내 반려동물 시장은 2027년 약 6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건강한 반려동물 먹거리와 존엄한 이별을 지원하는 장묘산업까지 반려동물 시장의 향후 확장성은 무궁무진하다.
◎공감언론 뉴시스 rainy71@newsis.com  폰테크 달인은 복잡한 용어 대신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투명한 절차로 상담부터 입금까지 전 과정을 깔끔하게 안내합니다. 합리적인 시세 기준으로 모델·상태별 견적을 제시하고, 불필요한 수수료나 숨은 비용은 없습니다. 폰테크가 처음이신 분도 안전하게 진행하시도록 신원 확인·안전결제·개인정보 보호 원칙을 지킵니다. 채널 상담, 방문 상담, 비대면 상담까지 상황에 맞춰 연결되며, 진행 여부는 고객이 결정합니다. 폰테크 달인은 결과만큼 과정의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당일 문의·당일 진행을 목표로 있지만, 무리한 권유 없이 조건이 맞을 때만 안내합니다. 진행 후에는 간단한 체크리스트와 거래 내역을 제공해 재확인할 수 있고, 사후 문의도 응답합니다. 합리, 안전, 투명—폰테크 달인의 기준입니다. 온라인 접수로 상담을 시작할 수 있으며, 자주 묻는 질문을 통해 폰테크 전 과정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이해한 만큼만 진행’하는 곳, 그게 폰테크 달인입니다.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비대면폰테크 https://phonetech.store/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