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악성 미분양’ 아파트 매입 실적 전무…733호 심의 중 – 폰테크 달인

폰테크 후기,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정부가 올해 지방 ‘악성 미분양’ 아파트를 3000호, 내년에 5000호 등 총 8000호를 매입해 지방 건설경기 회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으나 6개월이 지난 현재 실제 매입이 이뤄진 물량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실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매입 실적’ 자료에 따르면 매입대상으로 검토 중인 물량은 733호로 실제 매입실적은 0건이다.

LH는 지난 3월 1차 매입공고를 실시한 바 있다. 매입 대상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전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로, LH에서 신청 주택의 임대 활용 가능성, 향후 분양 전환 가능성 등을 평가해 매입 대상을 선별한 후, 선별된 주택에 대한 가격 검증을 거쳐 최종 매입 여부를 결정한다.

매입 가격은 ‘매입 상한가’ 내에서 업체가 제시한 ‘매도 희망가’로 결정되며, ‘매입 상한가’ 대비 ‘매도 희망가’가 낮은 주택부터 순차적으로 매입한다.

매입 상한가 기준은 1차 매입공고 시에는 별도 감정평가를 거친 감정평가액의 83%로 정했다. 그러나 건설사 입장에서는 헐값에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를 처분해야 한다는 위기감 때문에 신청이 지지부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LH는 “매입대상을 선별해 감정평가, 가격 검증을 추진 중”이라며 “지난달 29일 2차 매입공고를 실시하고 오는 26일까지 신청·접수 중”이라고 설명했다.

LH는 2차 공고에서는 최근 공사비 급등 등을 반영해 공공임대로 활용 가치가 높은 우량주택 신청을 유도할 수 있도록 감정평가액의 90%로 높여 기준을 완화했다.

민간에서 지을 예정인 주택을 LH가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신축매입임대 사업도 재정비에 들어가며 속도가 주춤한 상황이다.

LH는 지난 2일 서울, 인천, 경기남부본부의 민간 신축매입 신청 접수를 잠정 중단했다. LH는 “민간 신축매입약정 사업에 대한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사업 속도를 제고하는 등 사업 추진방향에 대해 검토 중”이라며 “감정평가형과 공사비연동형 모두 적용되는 사항”이라고 밝혔다.

지난 8월 말 기준 수도권의 신축매입약정 물량은 총 5만3348호다. 감정평가형이 1만3450호, 공사비연동형이 3만9898호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3만3103호로 가장 많고 서울 1만1117호, 인천 9128호 순이다. 수도권에서 신축매입약정 후 인허가가 이뤄진 물량은 1만9395호, 실제 착공한 물량은 9077호 수준이다.

LH는 올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축 매입임대 주택을 5만 가구 이상 매입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지난해에는 4만1000가구에 대해 매입 약정을 맺었다. 9·7 주택공급 대책에도 2030년까지 오피스텔·도시형 생활주택을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신축매입임대 14만호에 착공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item_title][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정부가 올해 지방 ‘악성 미분양’ 아파트를 3000호, 내년에 5000호 등 총 8000호를 매입해 지방 건설경기 회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으나 6개월이 지난 현재 실제 매입이 이뤄진 물량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실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매입 실적’ 자료에 따르면 매입대상으로 검토 중인 물량은 733호로 실제 매입실적은 0건이다.

LH는 지난 3월 1차 매입공고를 실시한 바 있다. 매입 대상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전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로, LH에서 신청 주택의 임대 활용 가능성, 향후 분양 전환 가능성 등을 평가해 매입 대상을 선별한 후, 선별된 주택에 대한 가격 검증을 거쳐 최종 매입 여부를 결정한다.

매입 가격은 ‘매입 상한가’ 내에서 업체가 제시한 ‘매도 희망가’로 결정되며, ‘매입 상한가’ 대비 ‘매도 희망가’가 낮은 주택부터 순차적으로 매입한다.

매입 상한가 기준은 1차 매입공고 시에는 별도 감정평가를 거친 감정평가액의 83%로 정했다. 그러나 건설사 입장에서는 헐값에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를 처분해야 한다는 위기감 때문에 신청이 지지부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LH는 “매입대상을 선별해 감정평가, 가격 검증을 추진 중”이라며 “지난달 29일 2차 매입공고를 실시하고 오는 26일까지 신청·접수 중”이라고 설명했다.

LH는 2차 공고에서는 최근 공사비 급등 등을 반영해 공공임대로 활용 가치가 높은 우량주택 신청을 유도할 수 있도록 감정평가액의 90%로 높여 기준을 완화했다.

민간에서 지을 예정인 주택을 LH가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신축매입임대 사업도 재정비에 들어가며 속도가 주춤한 상황이다.

LH는 지난 2일 서울, 인천, 경기남부본부의 민간 신축매입 신청 접수를 잠정 중단했다. LH는 “민간 신축매입약정 사업에 대한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사업 속도를 제고하는 등 사업 추진방향에 대해 검토 중”이라며 “감정평가형과 공사비연동형 모두 적용되는 사항”이라고 밝혔다.

지난 8월 말 기준 수도권의 신축매입약정 물량은 총 5만3348호다. 감정평가형이 1만3450호, 공사비연동형이 3만9898호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3만3103호로 가장 많고 서울 1만1117호, 인천 9128호 순이다. 수도권에서 신축매입약정 후 인허가가 이뤄진 물량은 1만9395호, 실제 착공한 물량은 9077호 수준이다.

LH는 올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축 매입임대 주택을 5만 가구 이상 매입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지난해에는 4만1000가구에 대해 매입 약정을 맺었다. 9·7 주택공급 대책에도 2030년까지 오피스텔·도시형 생활주택을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신축매입임대 14만호에 착공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폰테크 달인은 복잡한 용어 대신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투명한 절차로 상담부터 입금까지 전 과정을 깔끔하게 안내합니다. 합리적인 시세 기준으로 모델·상태별 견적을 제시하고, 불필요한 수수료나 숨은 비용은 없습니다. 폰테크가 처음이신 분도 안전하게 진행하시도록 신원 확인·안전결제·개인정보 보호 원칙을 지킵니다. 채널 상담, 방문 상담, 비대면 상담까지 상황에 맞춰 연결되며, 진행 여부는 고객이 결정합니다. 폰테크 달인은 결과만큼 과정의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당일 문의·당일 진행을 목표로 있지만, 무리한 권유 없이 조건이 맞을 때만 안내합니다. 진행 후에는 간단한 체크리스트와 거래 내역을 제공해 재확인할 수 있고, 사후 문의도 응답합니다. 합리, 안전, 투명—폰테크 달인의 기준입니다. 온라인 접수로 상담을 시작할 수 있으며, 자주 묻는 질문을 통해 폰테크 전 과정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이해한 만큼만 진행’하는 곳, 그게 폰테크 달인입니다.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비대면폰테크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