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자동화’로 해외직구 안전관리…’이 기관’, 우수상 수상 폰테크

폰테크 후기, 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식품안전정보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주최한 ‘2025년 정부혁신 우수사례 자체 경진대회’에서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실현한 직구식품 안전관리 업무 혁신’ 사례로 ‘성과를 창출하는 일하는 방식 혁신’ 분야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수상은 식품안전정보원이 수행하는 해외직구식품 안전관리 업무에 AI·자동화 기술을 개발·도입해 기존 수작업 중심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여 혁신적 업무 전환을 이룬 성과를 높이 평가받은 결과다.

식품안전정보원은 별도 예산 투입 없이 내부 전산 인력만으로 OCR(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이미지 인식, API(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 연계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6종의 자동화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운영해왔다.

이를 통해 ▲제품 표시면 반입차단 원료·성분 자동 점검, ▲법령 모니터링 ▲API 데이터 추출 및 파일 이름 자동 부여 ▲빅데이터 기반 가품 판별 및 판매차단 지원 등 해외직구식품 안전관리 대부분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성과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그 결과 직구식품 표시면 원재료·성분 검사 소요 시간은 최대 99% 단축되고 휴먼에러가 사실상 제거되는 정량적 성과와 함께, 위해 직구식품 정보의 신속·정확한 대국민 공개를 통해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 신뢰를 높이는 정성적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이번 사례는 반복 업무 자동화를 통한 행정 효율화와,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성과 중심의 행정을 구현한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이는 현 정부가 강조하는 ‘실용과 성과 중심의 혁신’ 기조와도 부합한다.

이재용 원장은 “이번 수상은 많은 국민이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아마존, 쿠팡 직구, 네이버 직구 등)에서 직접 구매해 즐겨먹는 식품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해온 디지털 혁신 성과가 공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AI와 데이터를 활용한 혁신적 성과 창출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식품안전 환경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 [#item_title][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식품안전정보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주최한 ‘2025년 정부혁신 우수사례 자체 경진대회’에서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실현한 직구식품 안전관리 업무 혁신’ 사례로 ‘성과를 창출하는 일하는 방식 혁신’ 분야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수상은 식품안전정보원이 수행하는 해외직구식품 안전관리 업무에 AI·자동화 기술을 개발·도입해 기존 수작업 중심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여 혁신적 업무 전환을 이룬 성과를 높이 평가받은 결과다.

식품안전정보원은 별도 예산 투입 없이 내부 전산 인력만으로 OCR(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이미지 인식, API(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 연계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6종의 자동화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운영해왔다.

이를 통해 ▲제품 표시면 반입차단 원료·성분 자동 점검, ▲법령 모니터링 ▲API 데이터 추출 및 파일 이름 자동 부여 ▲빅데이터 기반 가품 판별 및 판매차단 지원 등 해외직구식품 안전관리 대부분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성과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그 결과 직구식품 표시면 원재료·성분 검사 소요 시간은 최대 99% 단축되고 휴먼에러가 사실상 제거되는 정량적 성과와 함께, 위해 직구식품 정보의 신속·정확한 대국민 공개를 통해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 신뢰를 높이는 정성적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이번 사례는 반복 업무 자동화를 통한 행정 효율화와,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성과 중심의 행정을 구현한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이는 현 정부가 강조하는 ‘실용과 성과 중심의 혁신’ 기조와도 부합한다.

이재용 원장은 “이번 수상은 많은 국민이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아마존, 쿠팡 직구, 네이버 직구 등)에서 직접 구매해 즐겨먹는 식품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해온 디지털 혁신 성과가 공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AI와 데이터를 활용한 혁신적 성과 창출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식품안전 환경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